분류 전체보기
-
네팔에서 1년 - 냉장고 장만하는 이야기해외생활 2024. 8. 10. 10:00
이사를 하기 위해 준비하면서 알아보니 네팔은 집을 빌려줄 때 텅 빈 집을 빌려줍니다. 어찌보면 우리나라도 다르지 않지만 침대를 비롯한 가구나 가전도구 등이 하나도 없이 빈 집을 빌려서 세입자가 모두 사서 들어가는 방식입니다. 저는 10개월만 거주 할 것이기 때문에 이 모든 것을 사는 것이 좀 부담도 되고 낭비가 될 듯하였습니다. 다행히도 지금 집은 가구가 다 있는 주인집이 사용하던 그 상태로 입주할 수 있었습니다. 보통 한국에서 온 사람들이 입주할 때 침대, 소파, 책상, 식탁, 가스렌지, 가스통(실린더),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등등을 새로 삽니다. 물론 이불, 방석, 슬리퍼, 청소도구, 부엌 살림들 등등 끝이 없지요. 저는 이 모든 것들 중에서 냉장고와 세탁기, 전자레인지가 없는 상태였습니다. ..
-
네팔에서 1년 - 화장실 이야기해외생활 2024. 8. 9. 10:00
네팔의 화장실에는 변기마다 우리나라 화장실에는 없는 소형 샤워기(분사기)가 달린 수도가 하나 씩 있습니다. 이곳의 문화에서는 화장지를 사용하지 않고 물로 뒷처리를 하기 때문입니다. 오래된 화장실은 샤워기 대신에 물통이 하나 있습니다. 왼손을 이용해서 씻습니다. 그래서 평상시에 선물을 주거나 할 때 왼손을 사용하지 않는 문화도 더불어 있습니다. 보통 손가락으로 먹는 식사를 할 때도 아주 엄격히 따지지는 않지만 왼손은 달밧 쟁반을 들고 있거나 식탁 아래에 놓고 사용하지 않는 것이 보통입니다. 이 샤워기 막상 사용해 보니 아주 좋아요. 비데를 사용한다고 생각하고 이용하고, 화장지로 한 번 더 뒷처리를 하면 깔끔합니다. 저희 직장에도 한국에서 국제 협력으로 새로 지은 ICT 건물이라서 좌변기가 설치되어 있어..
-
네팔에서 1년 - 발콧에 집을 얻었습니다.해외생활 2024. 8. 8. 10:00
시간이 빠르게 갑니다. 어느덧 네팔에 온 지 100일이 되었습니다. 제가 지금 사는 곳은 카투만두에서 동쪽으로 조금 떨어져 있는 곳에 있는 박타푸르라는 옛 왕궁이 있는 곳에 속해 있는 수르여비나약(Suryabinayak)에 발콧(Balkot)입니다. 농촌 마을인데 논 밭에 많은 주택들이 지어졌고, 지금도 지어지고 있는 소도시입니다. 집 앞 밭에 바로 소들이 있습니다. 이곳에서 제 근무지까지 가까와서 현장적응교육(OJT) 할 때 홈스테이 하러 온 집입니다. 현장 적응 교육을 마치고, 환송식을 마치자 바로 숙소에 가서 짐싸서 이사를 했습니다. 안전과 여러가지를 고려하여 이곳을 월세로 계약하고 입주하여 생활한 지 한 달이 되었습니다. 처음 입주할 때는 그렇게 좋아보이지 않는 집이었는 데, 입주해서 살아보니 아..
-
네팔에서 1년 - 총선! 정치에 진심인 나라세계여행 2024. 8. 7. 10:00
아침에 출근을 하는 데 차도에서 사람들이 가두 행진을 한다. 마치 노동자들이 집회 끝나고서 행진을 하며 시위하는 모습이 떠오르는 풍경이 출근길에 펼쳐졌다. 경찰들의 호위를 받으며 피켓을 들고 전단을 나눠주면서 도심 한 복판을 당당하게 지나간다. 나눠주는 전단을 보니 투표용지처럼생겼다. 꽤 많은 정당에서 출마를 했는 지 칸이 무척 많다. 각각의 칸에는 글씨가 쓰여있는 것이 아니고 그림이 그려져있다. 익숙해 보이는 낫과 곡괭이 그림도 보이고 동그라미도 보인다. 특이하게도 우산이 그려져 있는 가 하면 나비가 그려져있는 정당도 있다. 네팔이 문맹률이 높다보니 정당 이름이나 출마자 이름으로 투표를 하는 것이 아니고 상징하는 그림을 보고 투표를 한다고 한다. 이렇게 총선이 다가오면서 도심 이곳 저곳에서 선거운동이..
-
네팔에서 1년 - 축제의 나라해외생활 2024. 8. 6. 10:00
벌써 한 달의 시간을 네팔에서 보냈다. 아직은 현지 적응 교육을 받고 있다. 지금은 띠하르 축제 기간이라서 일주일 넘게 연휴이다. 얼마전엔 더사인 축제여서 열흘 가까이 연휴였다. 더사인과 띠하르는 네팔 달력으로 새해가 시작되는 4월의 축제와 더불어 제일 큰 축제들이다. 예전엔 무려 한 달을 전국민이 쉬었다고 한다. 지금도 대부분 학교들은 한 달간 빙학을 한다. 관공서와 회사들은 달력에 빨간닐만 쉰다. 더사인은 조용히 집에서 보내는 것 같고 띠하르는 빛의 축제라고 재밌게 즐긴다. 하루 하루 의미를 부여하여 개가 신이 되기도 하고 소가 신이 되는 날도 있고 특이하게 남동생의 날도 있다. 빛의 축제라는 이름에 걸맞게 집집마다 반짝반짝 전구를 옥상에서 땅까지 내려서 밤새켜놓는다. 네팔이 정전도 자주되고 전력..
-
네팔에서 1년 - 봉사단 생활비(식비) 절약하기해외생활 2024. 8. 5. 10:00
봉사단원은 급여가 없습니다. 기초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주거비와 생활비가 매월 지급이 됩니다. 넉넉히 쓸 수는 없는 돈이기에 절약하는 생활을 하려고 노력을 많이 합니다. 그 중에서 식비의 비중이 매우 높습니다. 저는 압력 밥솥은 가져 갔지만 임시숙소에서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주식으로 토스트를 해서 먹는 경우가 많았고, 교육을 받는 점심에는 로컬 식당에 가서 저렴한 네팔음식을 사서 먹었습니다. 150루피(1500원)에서 200루피(2000원) 정도면 한 끼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토스트도 곁들이는 것을 다양하게 하면 좋습니다. 저는 기본은 토마토와 사과가 들어가고, 양배추를 삶거나 날로 곁들여 먹었습니다. 오이, 바나나를 곁들이기도 하고, 삶은 달걀과 함께 먹기도 하는 등 약간의 변화를 주었습니..
-
네팔에서 1년 - 임시 거주 숙소(Pines)에서의 생활해외생활 2024. 8. 4. 10:00
현지 적응 교육은 3개월입니다. 원래는 그 보다는 짧은 데 이번에는 더사인, 띠하르 축제가 연속으로 끼어서 거의 한 달이 더 길어지게 되었습니다. 공휴일이나 축제 기간에는 숙소에 머물게 되니, 숙소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집니다. 다행이도 저는 네팔의 평균 생활 수준에 비해서는 고급진 숙소에 머물게 되었습니다. 방이 하나인 원룸과 같은 곳인데, 넓직하고 좋습니다. 천정엔 실링팬이 있고, 에어컨도 달려있는 곳이었습니다. 간단한 주방이 있어서 음식을 해먹었습니다. 주로 빵을 사다놓고 토스트를 해서 먹었습니다. 3개월을 토스트를 해 먹으니 조금 지겹기도 했지만 다양한 과일과 야채, 달걀 등을 곁들였습니다. 숙소 창 밖으로는 네팔의 가을 날씨가 펼쳐져 있습니다. 저녁에는 근처 로컬 식당에서 음식을 포장해다..
-
네팔에서 1년 - 파탄, 오래된 인연 Cafe de Patan해외생활 2024. 8. 3. 10:00
파탄은 고대 왕국의 왕궁이 있던 곳입니다. 카트만두의 일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랄릿푸르 지역에 덜바르 스퀘어를 중심으로 오래된 도심지가 있습니다. 지난번 지진때 이곳도 피해를 심각하게 보았다고 합니다. 아직도 한 참 복구중에 있었습니다. 휴일에 이곳을 한 번 걸어서 가보았습니다. 아주 오래전에 묵었던 숙소 카페 데 파탄을 찾아서 나섰습니다. https://youtu.be/YSBAu4Ldzsk?si=foSIZVxpD_PD8z62 지나가다 걸려진 걸개를 보니 2022년 9월 27일이 랄릿 카니발이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카페 데 파탄은 아주 오래된 게스트하우수(호텔)입니다. 20년 전 처음 방문했을 때는 깔끔한 편인 곳이었고, 조금 비싼 숙소였습니다. 이곳 직원들에게 일본인들이 많이 찾는 다고 들었습니다...